한국의 선도 이야기

 

인재양성과 제왕학

국선도는 9800여년 전 하늘함도인으로부터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이후 상고시대를 거쳐 고조선 시대로 내려오면서 밝도, 밝돌법, 선도, 풍류도 등 다양한 이름으로 이어져 왔습니다. 이 공부법은 고대에는 제왕학에서 시작되었으며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고대의 제왕은 한편으로는 지혜를 실천하며 백성을 살피는 군자로서, 또 한편으로는 하늘을 열고 땅을 읽어가며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장의 역할까지 하였습니다. 지도자는 지혜를 밝히고, 하늘과 통하는 사람이어야 했기에 깊고 높은 산으로 들어가야 했습니다. 하늘과 가까운 높은 산으로 들어가 자신을 열고 하늘을 받아들이며 깨어나는 공부를 했습니다. 이 공부법이 발전하여 고구려에서는 조의선인제도, 백제에서는 수사제도, 신라에서는 화랑제도로 그 맥이 이어졌습니다. 

 

산중비법을 공개


이 공부법은 우주대자연과 사람이 하나의 유기체로서 조화를 이루는 양생의 도법으로 체계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국가는 인재양성을 위해 제도적으로 도입하고, 개인은 지혜를 밝히는 수도적 차원에서 그 명맥을 이어왔습니다.
근대로 내려오면서 국가제도나 수양단체의 명맥은 이어지지 못하고 개인의 수도차원으로 산중에서 비전으로만 그 명맥을 이어왔습니다. 최근의 도맥은 무운도인에서 청운도인으로 이어지고, 청운의 제자 청산선사가 하산하면서 시중의 일반인에도 도법을 공개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선도 이야기

 

선도의 유래

선도는 수천만 년 전 상고시대부터 비전(秘傳)으로 내려왔기에 기록이 따로 없이 스승에서 제자로 직접 이어져 왔습니다. 이 공부는 문자로 익히는 것이 아니기에 스승으로부터 직접 가르침을 받으며 제자는 보고 듣고 이어받아 체득하는 도법이기에 따로 기록을 남기지 않았습니다.
우리 민족은 수천 수만 년 전부터 신선사상(神仙思想)이 전래하여 왔기에 중국의 예전 나라에서는 신선을 우리 나라에 와서 찾으려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기록을 중시했던 중국의 문헌에는 신선설(神仙設)이 없습니다. 노자(老子)이전에는 기록이 없다가 도교의 등장으로 장자(莊子)에 이르러 비로소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신선사상을 기록한 후대의 문서에는 고대신관(古代神官)들은 입산수도를 통해 득도하고 지혜를 터득해왔다고 하였습니다. 그 산을 신산(神山)이라 하여 숭앙하였고, 산에 들어가 수도하고 득도한 사람을 신선이라 하였습니다. 하늘사상을 가진 우리민족이 깊고 높은 산으로 들어간 이유는, 하늘과 가장 가까운 곳이라 믿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우리는 하늘로부터 내려온 하늘사람이고 천손이기에 제천의식과 경천사상(敬天思想)이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태양(太陽: 밝)과 월성(月星: 달)의 덕을 갖기 위해 시작된 신선사상은 이후 제왕학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고대의 제왕은 한편으로는 백성을 살피는 군주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며 하늘의 뜻을 헤아리는 제사장이었습니다. 이는 백성을 보살피는 덕과 하늘과 통하는 신통력을 두루 갖추어야 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식을 고양하며 강력한 육체적 능력을 필요로 했는데, 이것이 바로 선도로 발전해왔습니다.

 

선도의 선인들

깊고 높은 산에 들어가 하늘이 들어오도록 자신을 열고 정좌하니, 들고 나는 것은 숨이고, 일어나는 것은 하늘기운이며, 고요함에서 밝아오는 건 세상의 이치였습니다. 이것이 숨쉬는 법이고, 몰입하며 고요함을 유지하는 법이고, 고요함으로 밝아오는 세상을 보는 법이고, 깨어나는 법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있는 고대의 선인은 천기도인(天氣道人)을 비롯하여 환인, 환웅 단군, 영랑(永郞), 옥룡자(玉龍子)가 있습니다. 역사적인 인물로는 최치원(崔孤雲), 이혜손(百愚子), 위한조(靑鶴眞人), 운학도인(雲鶴道人), 청운도인이 있습니다. 청운도인(靑雲道人)은 청산(靑山)의 스승이며, 청산은 하산하여 국선도라는 이름으로 도법을 산중에서 시중으로 펼친 분입니다. 청산(靑山)은 국선도인 모두에게 영원하고 유일한 스승입니다.

 

선은 밝은 덕, 도는 삶의 길 

 

우리나라는 신선사상의 발상지로서 선의 도를 실현하는 삶을 최고의 도덕이라 여겼습니다.
선은 태양의 밝은 덕을 뜻하고, 도는 삶의 길이라는 의미입니다.
선도는 밝은 덕을 실천하며 삶을 길을 가는 사람을 말하고, 이런 사람을 하늘사람이라 하였습니다.

‘밝’은 밝고 환하다는 말이고, ‘사이’는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 사이를 뜻하며, ‘삶’이란 생명을 살린다는 의미입니다.
밝이나 사이나 삶이라는 말은 모두 사람이 가져야 할 덕을 뜻하며, 이를 실천하는 사람을 선인이라 하였습니다. 선인은 하늘사람을 의미하고 지혜롭게 깨어있는 사람을 뜻하는 말입니다. 이런 밝은 덕을 실천하며 살아가는 길을 선도법이라 하였고, 현묘지도, 풍류도, 국선, 단도 등으로 불렀습니다.

국선도의 공부법

국선도는 생명을 살리는 길이며 지혜로 깨어나는 법입니다. 하늘사람으로 거듭나기 위한 인간완성의 공부법입니다. 육체와 정신은 물론 도덕력을 겸비한 실천적인 공부라는 면에서 사상과 신념이 아니라, 인간완성을 위한 자연도법으로서  신앙과 밀착된 외래 수련법과 다른 국선도만의 독특한 공부법입니다.

선도의 역사

하늘함 도인

들머리나라

도인이 된 소년